유학인포

일반대학원과 교육대학원의 차이, 직장인 대학원 어디가 더 나을까? 본문

직장인 대학원 진학하기

일반대학원과 교육대학원의 차이, 직장인 대학원 어디가 더 나을까?

H 2020. 8. 10. 00:20
반응형

 

 

 

안녕하세요, 흑당언니입니다. 오늘은 일반대학원과 교육대학원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현재 교육대학원에 다니고 있는데요, 진학을 결정하기 전까지 어떤 대학원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고민을 많이 했었습니다. 대학원에도 종류가 많이 있는데요, 먼저 일반대학원은 어떤 곳인지 말씀 드릴게요.

 

1. 일반대학원

 

 

 

대학교 때 교수님 연구실에서 근무하고 있는 학생들을 보셨을 겁니다. 그 분들이 바로 일반대학원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들입니다. 일반대학원생들은 대학원생이 직업입니다. 이 분들은 전일제로, 연구과제에 참여하거나, 수업 보조를 맡아 받은 장학금으로 학비를 충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대학원은 특수대학원에 비해 학비가 저렴한 편이고요, 시간표를 짜기 나름이긴 하지만 수업이 저녁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오전에도 있습니다. 일반대학원에 진학하는 경우, 논문은 필수사항이고, 논문을 쓰지 않으면 학위취득이 불가능합니다. 일반대학원에 진학하는 목적은 주로 학문탐구이고, 졸업 후에도 해당 분야의 교수 또는 연구원으로 취직하는 것을 희망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2. 교육대학원

 

 

 

 

다음으로 교육대학원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교육대학원은 주로 직장에 다니는 분들이나 임용고사 응시자격 취득을 희망하는 분들이 진학하는 대학원입니다. 학생들 중 현직교사의 비중도 상당히 높습니다. 직장인이 많은 만큼, 수업은 야간이나 주말에 운영됩니다. (오후 6시 이후) 등록금은 일반대학원보다 비싼 편이고요, 장학금을 줘도 전액으로 지급하는 경우는 많이 없습니다. 교육대학원에 진학하게 되면, 대부분은 논문을 쓰지만, 논문이 필수가 아니라 선택인 경우도 있습니다. 학점트랙이라고 해서, 학점을 많이 이수하면 졸업을 시켜주는 식입니다. 이렇게 학점트랙을 운영하는 이유는 교육대학원을 졸업한 사람들이 연구자의 길을 걷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교육대학원에 다니고 있는 제 주변의 동기들도 주로 자기개발이나 네트워크 형성을 목적으로 진학하였습니다.

 

결론

 

직장인으로서 대학원을 선택할 때 두 가지를 고민해 봐야 합니다.

① 회사에서 외출을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는지 (혹은.. 직장을 그만둘 수 있는지)

② 연구자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지

 

1번과 2번이 YES인 경우에는 일반대학원으로의 진학을 추천 드립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회사를 그만둘 의향은 없었고, 현실적으로 수업도 회사와 겹치지 않는 시간에 들어야 했으며, 연구자가 되는 것에 대한 확신이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교육대학원으로의 진학을 결정하였습니다. 여러 가지 장단점을 고려하여 현명한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Comments